청와대의 취업현황판은 어디갔나...

 

내년 1분기 취업자 수 증가폭이 '0명'대 수준에 그칠 것이라는 충격적인 전망이 나왔다.

올해 위축된 고용시장의 여파가 내년 상반기까지 영향을 미친 결과다.

7일 한국개발연구원(KDI)에 따르면 내년 1분기 취업자 수 증가폭은 0명대 수준을 기록할 것으로 전망됐다.

KDI의 전망치대로 내년 1분기에 취업자 증가율이 0%대를 기록하게 되면 2009년 1분기(-14만명) 이후 10년 만에 최저 수준이다. 

특히 이 같은 추세가 최소 내년 상반기까지는 지속될 것이란 게 KDI의 분석이다.

김현욱 KDI 거시경제연구부장은  "내년 1분기 취업자 수 증가폭도 올 4분기와 같이 0명 내외가 될 것으로 전망돼 크게 개선되지 않을 것"이라며 "고용상황이 적어도 내년 1분기에서 길게 보면 상반기까지 부진할 가능성이 크다"고 말했다. 이어 "올해는 (취업자 수 증가폭이) 위에서 밑으로 내려가는 '상고하저'(上高下低) 추세였다면 내년에는 밑에서 위로 올라가는 '상저하고'(上低下高) 상황이 될 것"이라고 덧붙였다. KDI는 내년 취업자 수 증가폭이 10만명 안팎이 될 것으로 예측했다.

내년 상반기 고용전망이 어두운 이유 중 하나는 올 연말 고용상황이 전혀 나아질 기미를 보이지 않고 있기 때문이다.

앞서 KDI는 6일 '2018년 하반기 경제전망'을 발표하며 올해 취업자 수가 7만~7만5000명 증가할 것으로 예상했다. 이는 3분기까지 취업자 증가폭이 10만명을 기록 중인 것을 감안해 4분기 취업자가 사실상 0명대 증가할 것으로 예측한 것이다.

KDI 전망에 의하면 올해 취업자 수 증가폭은 지난 2009년 8만7000명 감소 이후 최저치를 기록하게 된다.

전망치에 올해 1~3분기 평균 취업자 수 증가폭이 약 10만명인 점을 고려하면 4분기에 마이너스 증가율을 보일 가능성도 높다.

또 제조업·서비스업의 부진과 노동시장 경직성 같은 구조적인 문제도 내년 고용전망을 어둡게 하고 있다.

전통 제조업은 반도체 의존도가 갈수록 높아지고 있고 서비스업은 중국인 관광객 감소와 최저임금·주 52시간 근무제 등 정부 정책의 단기 부작용까지 겹치면서 고용률을 끌어올리지 못하고 있다.

여기에 제조업 설비투자마저 부진을 면치 못하면서 우리나라 산업경쟁력의 약화로 이어지는 모양새다. 

KDI는 내년 설비투자도 전년 동기 대비 1.3% 증가에 그칠 것으로 전망했다. 

 

 

저작권자 © 시사경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